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세부필리핀어학연수
- 필리핀어학연수안좋은글
- 필리핀어학원픽업
- 필리핀어학연수홈스테이
- 일대일연수
- 필리핀어학연수단점
- 필리핀어학연수 성공법
- 안티필
- 필리핀어학연수효과
- 필리핀유학원
- 세부
- 필리핀어학연수비용
- 필리핀어학원검색
- 필리핀어학연수안티필
- 마닐라
- 필리핀효과
- 필리핀단기연수
- 필리핀연수비용
- 필리핀어학원순위
- 필리핀어학연수
- 바기오 어학연수
- 필리핀어학연수일대일
- 맨투맨효과
- 필리핀어학연수장단점
- 마닐라어학연수
- 필리핀어학연수 조언
- 안티필리핀
- 필리핀어학연수활용법
- 안티필필리핀어학연수
- 필리핀어학연수 활용
- Today
- Total
목록세부 (32)
[안티필] 필리핀 어학연수 왜 성공하지 못하는가?
필리핀이란 나라의 영어실력을 떠올리면 영어를 할줄 알아도 발음은 매우 이상할것이라 생각이 든다. 과연 진짜 그러한가?? 대게 그렇다. 일단 거리에서 얘기하는 정도의 발음은 모두 쌘발음이 잘난다. ex) contract (컨트렉트
필리핀에 각 지역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많은 학생들이 대부분의 학생들이 연수 첫 주부터 여행을 간다. 필리핀에 지내는 동안 참 별에 별 학생들을 다 보면서 나중에 한국에 돌아가면 인터넷에 내 직접 글을 적겠다고 결심했었는데 지금이 그 시기이고 이렇게 전달하고 있어 힘들지만 한편으로 매우 기쁘지 아니할수 없다. 필리핀 가서 매주 주말과 심지어 평일에도 죽어라 놀러만 다니는 학생! 공부는 하겠다고 앉아는 있는데 실력도 안늘고 남들처럼 놀러 다니자니 불안해 하는 학생!(공부방법 잘못된 케이스) 어쨋든 후자보다는 전자가 훨씬 많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세부가 아주 심하다. 필리핀 어학원들과 한국 유학원들도 필리핀 어학연수지역을 주말에 액티비티를 즐기기에 좋다는 말을 서슴없이 하고 또 학생들은 ..
첫번째 포인트 - 본인이 가고자 하는 달의 연휴를 파악해두자. 필리핀정부에서는 국내관광 산업을 장려하기위해 가령 화요일이 휴일이면 월요일로 휴일을 지정하여 토~월까지 쉬는 이런식의 휴일장려책을 쓰고 있다. 아래 국가가 지정한 공휴일은 당연히 학원 수업이 없으며, 학원에서 수업을 안했다고 하루가 늘어나지 않는다. 돈도 아까울 뿐만 아니라 가자마자 연휴면 다들 나가고 당황스럽다. 심지어 가자마자 알게된 사람들로 인해 그냥 연휴에 여행을 따라서 뭍혀 가는 경우도.. 간혹 공휴일이 주말 + 2일 가량이 있는 긴 연휴도 있으니 반드시 이런 연휴가 본인의 등록전후에 있었는지 반드시 파악해야만 한다.(해당 어학원 사무실이나 유학원에 물어보면 알려줌) [공휴일] 1월 1일 : New Year's Day 3월-4월 : ..
아마 필리핀을 처음 가는 분들.. 아예 비행기를 처음 타는 분들도 많으리라 보여진다. 완전 다른 환경속에서 적응을 하고 공부를 해나가야만 한다. 언론에서 아무리 뭐라해도 필리핀에서 회화실력 늘리기 위해 이곳 필리핀까지 오지 않았는가? 안티필에서 제시한 데로 영어기초를 쌓고 준비물을 잘 챙겨서 필리핀에 도착했다면 적응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은 그다지 길지 않을 것이다. 특히 한국의 겨울시기에 연수를 떠난 학생들은 갑작스런 기온변화에 철저한 대비를 해야만 할 것이다. 그럼 필리핀에 도착하여 첫 주에 무엇을 해야하는가? 필리핀이란 나라에 처음 도착하면 공항에 각 학원들의 픽업차가 나와서 학생들을 맞이 해줄것이다.(대부분 밤늦은 시간 도착) 각 지역 학원별로 공항에서 학원까지 걸리는 시간이 모두 다르다는 점을 ..
자~ 지금부터 12월의 연말과 1월초 연초에 필리핀 연수기간으로 잡은 이들에게 전한다. 곧 11월이 되면 모든 유학원 어학원 할것없이 대학생들의 겨울방학을 이용하여 8주 단기연수 프로그램을 만들것이다. (뭐~여름방학도 마찬가지고 2개월 가량의 단기연수를 생각한 사람들 모두 마찬가지) 이제 안티필의 글들을 모두 읽은 분들이라면 알수 있을것이다. 8주의 연수로 무엇을 얻을지.....에 대한 답변을... 특히 12월 중순 기말고사가 끝나고 방학을 맞이한 학생들 중 최악의 케이스를 소개하겠다. 12월 20일 정도에 겨울방학 하자마자 필리핀으로 바로 연수를 가는 케이스!! 왜일까? 멋모르고 왜 필리핀에 가는지.. 필리핀은 국가적으로 12월의 크리스마스를 무지하게 기다린다. 10월말부터 서서히 들뜨기 시작하는데....
1:1 수업이라고 아무런 준비없이 얘기만 한다고 실력이 늘까? 절대 그렇지 않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지 그 전략을 알아보자. 1. 수업시간에 수다 떨지 말자! 수업엔 수업과 관련된 얘기만 해야한다. 특히 매일 만나고 얘기하고 친해지면 수업시간에 진도는 나가지 않고 수다만 떨게 되는 경향이 있다. 수다도 영어인데 무슨 상관이 있느냐? 할수 있지만 엄격히 다르다. 아주 쉬운 단어들로 관심사 얘기들을 하면 마치 다 알아듣는것처럼 느낄지 몰라도 이는 이미 내가 알고 있는 거라 들릴 뿐이다. 특히 한국 연예인 얘기/ 먹을거리 얘기/ 여행하기 좋은곳 토론/ 학원생 뒷담화.. 이런 것들은 쉬는 시간에 잠깐 만나서 하면 몰라도 수업시간에는 반드시 피해야 할 주제들이다. 위와 같은 것들은 주말에 따로 선생들을 만나서 ..
1. 지프니(jeepney) 태평양 전쟁이 끝나자 미군이 가지고 들어 온 짚(Jeep)은 자연히 그 용도를 잃게 됩니다. 따라서 소요량을 초과하는 짚과 부품들은 많은 부분이 민간에게 불하 되기도 하고 또 뒷거래로 유출되기도 합니다. 이 짚을 개조하여 승차인원과 적재량도 늘린 것이 지프니(Jeepney : Jeep+Poney)입니다. 일관된 생산공정에 의한 것이 아닌 하나 하나 수작업에 의하여 제작되고 색칠하게 되므로 차량 저마다의 개성을 가지고 있답니다. (6,25 정전 후의 우리와 똑같습니다. 당시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들 눈에는 하나도 같은 모양의 차가 없다는 사실을 무척 신기하게 여겼었죠.) 이들에게 있어 지프니는 매우 유용한 대중교통수단이며 P7.5(\230원 상당)면 마닐라 웬만한 곳은 갈 수..
언젠가부터 학생들이 필리핀에서도 네이티브 수업을 받기를 희망하기 시작하면서 일부 어학원들이 이를 받아들여 도입을 하자 다른 어학원들도 어쩔수 없이 따라하는 꼴이 되어버렸다. 네이티브들을 고용하려면 필리핀 강사보다 몇배의 돈을 줘야하니 이는 어학원입장에서 골치덩어리일수 밖에... 하지만 어학원 입장을 떠나서 본인은 필리핀까지 와서 네이티브를 찾는건 참 뭔가 웃기다. 네이티브들은 보통 레벨이 높은 학생들을 맡아 수업(주로 그룹수업/공개수업)을 한답 치지만 필리핀에서 레벨이 높아봤자 모두 도토리 키재기인데, 그들을 정말 잘 활용하는 이는 드물다. 그냥 네이티브와 얘기해본 경험을 쌓고자 그들을 요구하는 것 같다. 사실 필리핀 강사들로도 정말 충분하다. 발음/스피킹/리스닝/라이팅 모든 면에서 거의 완벽을 추구하는..
각 어학원들의 튜터/티쳐/선생들을 어찌 활용해야 할까? 흔히 하는 착각 중 하나가 필리핀 어학연수를 가서 1:1은 무슨 영어회화 중 스피킹만 하는 줄 아는데... 아니 스피킹만 하는게 맞겠지만 그 스피킹의 기본이 안되니 개별맞춤수업이란 문구 아래 필리핀 강사에게 문법을 배우고 단어를 같이 외우고 리스닝 공부를 같이 한다.. 물론 영어로 대화하기에 스피킹이 그 토대가 되겠지만 이것은 참 못난 짓이다. (참고로 유명학원 필핀어학원 선생들 실력은 상상초월/쉽게 얘기하면 토플정도는 거뜬히 만점에 다다른다.) 이런 문법이나 단어암기와 같은 것들은 한국에서도 혼자할수 있는 부분이다. ->이러니 한국에서의 공부를 하고 갈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왜 거기까지 가서 이런 공부를 해야하는지?? 어찌됐건 의문나는 부분을 혼..
학원에서 만나게 될 친구들. 필리핀 어학연수를 가더라도 필리핀에서 사귀게 될 친구들 혹은 룸메이트에 따라 연수의 효율성이 결정될 수 있다. 어느 어학원을 선택하더라도 그 어학원의 마케팅 대상은 한국인이기에 어쩔수 없이 어울릴 수밖에 없다. 그룹수업도 모두 한국인 친구들과 하게 될것이고 밥도 모두 한국인 친구들과 대부분 먹게 될것이이다. 무엇보다 기숙사를 쓰는 과정에서 1인실을 제공하는 학원도 많지만 이는 당연히 가격적으로 비쌈에 따라 매우 예민한 여학생들을 제외한 남/여학생들은 2인실~3인실을 선호하며, 당연히 가격도 그만큼 저렴하다. 세부의 한 학원은 한국인이 아닌 중국인/일본인들과 룸메이트가 되어 생활하기도 하고 바기오의 일부 학원은 룸메이트가 한국인이 아닌 티쳐와 생활하게 만들기도 한다. 각각의 학..